https://adsense.google.com/adsense/u/0/pub-1681308902073287/onboarding/overview https://studio.youtube.com/channel/UCtTHKWbhK7s2_5ctsdUpO6A www.youtube.com/@농장주가되자 https://www.youtube.com/channel/UCZJMkJNBs8qT7_bk2KGc_hQ https://blog.naver.com/hak3512 https://blog.naver.com/hak3512 https://www.youtube.com/channel/UCZJMkJNBs8qT7_bk2KGc_hQ https://www.youtube.com/@yunhak3513 귀농 귀촌을 위해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농장주가되자

귀농 귀촌을 위해 알아보기!

by 잘 살아보자. 2025. 6. 3.
300x250
BIG
300x250

 

각 시,군은 귀농·귀촌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 있습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 각 시,군의 주요 귀농·귀촌 지원정책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귀농·귀촌 지원사업 개요 (2025년 기준)

1.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 (융자)

  • 지원내용:
    • 농업창업자금: 세대당 최대 3억 원 융자
    • 주택 구입·신축·증·개축 자금: 세대당 최대 7,500만 원 융자
  • 융자조건: 연 1.5% 고정금리 또는 변동금리, 5년 거치 10년 상환
  • 지원대상:
    • 농촌 외 지역에서 농업 외 산업에 종사하다가 농업에 종사하려는 자
    • 농촌지역에 거주하면서 농업에 종사하지 않았던 자로서 농업에 전업하려는 자
  • 신청자격:
    • 이주기한, 거주기간, 교육이수 실적 등 함안군의 지원자격 요건 충족 필요
  • 신청기간: 매년 상·하반기 접수 (예: 2024년 상반기 접수는 2월 10일까지)(gdnnews.com,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뉴스핌)

2. 귀농인 영농정착 지원사업 (보조)

  • 지원내용: 세대당 500만 원 보조금 지원
  • 지원대상: 귀농인 및 중견 귀농인
  • 사업기간: 2025년 3월 ~ 12월
  • 신청기간: 2025년 2월 5일까지
  • 신청장소: 신청자의 거주지 관할 읍·면사무소
  • 신청서류: 사업신청서, 세부사업계획서, 견적서, 주민등록등·초본 등(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신청 및 문의


추가로, 각 시,군은 귀농·귀촌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귀농·귀촌을 고려하시는 분들은 각 시,군의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상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시,군의 홈페이지의 귀농귀촌 지원정책 안내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한국건강증진개발원)


각 시,군은  인구 유입과 농촌 빈집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전입세대 주택수리비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해당 사업의 주요 내용입니다:(노컷뉴스)


🏠 지원 개요

  • 지원 대상:
    • 타 지역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다가 함안군으로 전입한 지 2년 이내인 세대
    • 각 시,군 내 빈집에 전입하여 정착한 세대
  • 지원 금액:
    • 1인 가구: 최대 300만 원
    • 2인 가구 이상: 최대 500만 원
  • 자부담 조건: 전체 수리비용 중 50% 이상을 자부담해야 함
  • 거주 유지 조건: 수리비를 지원받은 후 3년 이상 해당 주소지에 거주해야 함
  • 주의사항: 지원사업 선정 후 주택수리를 진행해야 하며, 선정 전에 수리를 완료한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됨(hamannews.kr, 뉴스핌,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노컷뉴스)

📄 신청 방법

  • 신청 장소: 주택 소재지의 읍·면사무소 총무담당
  • 제출 서류:
    • 신청서
    • 신분증
    • 전입확인 서류
    • 주택 소유 확인 자료
    • 기타 필요 서류는 읍·면사무소에 문의(지능메일)
     

행복을 꿈꾸는 그 날!


📌 유의사항

  • 수리비 지원은 선정 후 수리를 진행해야 하며, 선정 전에 수리를 완료한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지원받은 세대는 3년 이상 해당 주소지에 거주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지원금 반환 등의 조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이나 추가 문의는 각 시,군 또는 해당 읍·면사무소에 직접 연락하시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일단 귀촌부터 천천히 귀촌부터 알아 봐야 할것 같습니다.

귀촌 후에는 농지취득자격증명서에 대해서도 알아봐야 합니다.

시골에서 해택받는게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노후에는 시골에서 해택받으며 살고,큰 병원은 차로 30~1시간 안에  갈수있는 곳으로 추천합니다.

귀농 귀촌을 알아 보시는 분은 천천히 많은 정보를 알아야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줄일수 있습니다.

많이 고민하고 체험도 해 보는것이 좋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 일들만 있길 바랩니다.

'농장주가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 애드센스 작성시 주위 사항과 요령  (25) 2025.05.09